로체스터 대학교(University of Rochester) ? “교양과목조차 없다. 평범함을 거부하는 로체스터 커리큘럼”

등록일 : 2025-07-16 / 조회 : 57

?

한국에서는 다소 덜 알려져 있지만, 미국 내에서는 "뉴 아이비(New Ivy)"로 불리며

학문적 우수성과 독특한 교육 철학으로 주목받는 명문 사립 대학.

오늘 정리해드릴 학교는 “로체스터 대학”입니다.

?

 

2.jpg

 

?

1. 로체스터 대학은요

로체스터 대학교는 1850년에 설립된 사립 연구 중심 대학입니다. 미국 뉴욕주의 로체스터에 위치한 이 대학은 라틴어 Meliora, “항상 더 나아지자” 라는 모토를 품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과 교수진이 끊임없이 성장하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자라고 하는 가치를 강조한다고 하네요. 로체스터 대학교는 "Meliora Weekend"라는 연례 행사를 통해 동문, 학생, 지역사회가 함께 합니다. 또한, "Take Five Scholars Program" 이라고 해서 학생들에게 전공 외의 분야를 1~2학기 동안 무료로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혁신적인 시도를 했고, 이는 뉴욕 타임스에서 "미국 내 가장 혁신적인 Liberal Arts 프로그램"으로 평가받았습니다.

로체스터 대학교는 2006년 뉴스위크가 선정한 "뉴 아이비리그" 25개 대학 중 하나로 꼽혀 아이비리그에 버금가는 학문적 우수성을 인정받았습니다. 특히, 노벨상 수상자 13명, 퓰리처상 수상자 13명, 그래미상 수상자 45명을 배출하며 학문과 예술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쌓았고요. 1921년 설립된 이스트만 음악대학(Eastman School of Music)은 줄리어드 음대, 커티스 음대와 함께 미국 3대 음악 대학으로 꼽힙니다.

수많은 저명인사를 배출한 대학, 강력한 학문의 힘, 소수의 학부규모가 만들어내는 극대화된 연구결과 -이것이 로체스터 대학입니다.

 

2. 프로그램과 강점

로체스터 대학교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지만, 특히 몇몇 전공과 연구 분야에서는 더욱 유명합니다. 학생 수는 약 6,428명의 학부생과 5,000여 명의 대학원생으로, 교수 1명당 학생 10명 비율을 유지하며 밀접한 지도 효과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7.jpg

 

9.jpg

 

3.jpg

 

?왜 강세일까?

10.jpg

 

?미국 내에서 로체스터 대학교는 "뉴 아이비"로 불리며, 특히 학계와 대기업 인사담당자들 사이에서 높은 평가를 받습니다. 졸업생은 아마존, 구글, 블룸버그, 골드만삭스 같은 글로벌 기업이나 아이비리그 대학원으로 진출하며, 지역 내에서는 코닥, 제록스 같은 기업과의 오랜 파트너십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NYU나 컬럼비아에 비해 인지도가 낮지만, 저희 같은 유학원 관계자나 대기업 채용 담당자에게는 상당히 평판이 좋은 학교입니다. ?

 

11.jpg

 

?3. 캠퍼스와 시설

 

4.jpg

 

?로체스터 대학교의 캠퍼스는 뉴욕주 로체스터의 제네시 강(Genesee River) 근처에 위치한 리버 캠퍼스(River Campus)가 중심입니다. 아담하면서도 아름다운 풍경의 캠퍼스예요.

 

11.jpg

?

4. 그래서 어디에? 뉴욕주 로체스터시

로체스터 대학교가 위치한 로체스터시는 뉴욕주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인구 약 21만 명)로, 뉴욕시에서 약 400km, 버펄로에서 1~2시간 거리에 있습니다. 캐나다 국경과도 가깝습니다.

?

5.jpg

 

?

1) 산업 중심지: 과거 코닥, 제록스, 바우슈 앤 롬의 본사가 있던 공업 도시로, 사진 및 광학 기술의 중심지였습니다. 현재도 기술 및 제조업이 발달해 있습니다.

2) 문화와 예술: Rochester International Jazz Festival, Strong National Museum of Play, George Eastman Museum 등으로 예술과 문화가 풍부합니다.

3) 생활비: 뉴욕주 내에서 가장 저렴한 도시 중 하나로, 2베드룸 아파트 평균 임대료가 약 $1,300 수준입니다. 대도시에 비해 상당히 저렴한 물가 수준입니다.

계절: 뚜렷한 사계절로, 겨울철 눈이 많이 내립니다.

4) 한국에서 로체스터 대학까지: 로체스터에 로체스터 국제공항이 있지만, 한국에서 로체스터까지 직항은 없으므로, 뉴욕의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KFK 또는 라과디아 공항, LGA 나 시카고 오헤어, ORD를 경유해야 합니다. 항공 스케쥴에 따라 총 20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5) 지역사회와의 연계: 로체스터 대학교는 특히 지역 기업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인턴십과 취업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대학의 의료 센터는 지역 주민들에게 고품질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습니다.

?

?

5. 학생 생활과 커뮤니티

학생 중심의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어 있으며, 약 90%의 학생이 동아리나 단체 활동에 참여할 정도로 활발합니다.

1) 아카펠라 그룹 : 로체스터의 아카펠라 앙상블은 미국 내 최고 수준으로, YellowJackets와 Vocal Point가 유명합니다.

2) 스포츠와 레크리에이션: NCAA Division III 소속으로, 농구, 축구, 수영 등 다양한 스포츠 팀이 활동합니다.

3) 문화 행사: Rochester International Jazz Festival과 연계된 공연, 캠퍼스 내 영화 상영, 예술 전시 등이 활발합니다.

4) 기숙사 생활: 기숙사는 1인실, 2인실, 아파트 형태로 나뉘며, 식비와 묶여 약 $6,000/학기입니다. 캠퍼스 내 터널 시스템 덕분에 겨울철 이동이 편리합니다.

5) 다문화 환경: 유학생 비율이 약 25%로, 한 수업에 미국 학생과 유학생이 절반씩 섞여 다문화적 학습 환경을 제공합니다. 2018년 기준 한국인 학생 약 164명이 재학 중이라고 합니다.

6) 지역사회 공헌: 의료 센터를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 무료 건강 검진과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지역 예술 및 음악 행사 후원으로 문화 발전에 기여합니다.

 

6. 누가 이학교를 졸업했을까?

12.jpg

 

?

7. 이래서 한국 학생들에게 권해요.

1) 학문적 유연성과 개방형 커리큘럼

앞서도 언급했던 바와같이 로체스터는 특히 유연함에 특화되어 있는 학교입니다. 정형화된 한국식 교육에 익숙해 있는 한국 학생들이 미국의 자유롭고 독창적인 교육시스템에 적응하지 못해 결국 실패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학생들에게 성공적인 미국유학을 이끄는 기반을 제공할수 있습니다. 잠깐 설명드리면, 로체스터의 "Open Curriculum"은 필수 교양 과목 없이 학생이 원하는 전공과 과목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공학을 전공하면서 음악이나 심리학을 부전공으로 공부할 수 있어, 한국 학생들이 다양한 관심사를 탐구하며 자신만의 커리어를 설계하기에 이상적입니다.

2) 소규모 강의와 교수 접근성

보통 한국대학이 교수 1명당 학생비율이 1:30 인것에 비해, 로체스터는 교수 1명당 학생 10명의 수준을 유지합니다. 간혹 한국 학생들이 소극적인 성향으로 연구 프로젝트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로체스터에서 만큼은 그럴수 없지요. 특히 영어 토론등에 익숙하지 않은 한국 학생들이 꽤 괜찮은 토론 실력을 가지고 졸업할수 있도록 만드는 배경이 될수 있습니다.

3) STEM과 음악

특히 한국학생들에게 있어 STEM은 필수로 여겨집니다. 공학, 의학, IT 분야에서 로체스터는 세계적인 명성을 거두고 있습니다. 특히 광학(Optics)은 전 세계 1위로, 삼성, LG 같은 한국 기업과의 협업 기회가 많습니다. 이스트만 음악대학은 줄리어드에 버금가고요.

4) 유학생 친화적 환경

유학생 비율 25%로, 한국 학생 약 164명이 재학 중이며, International Services Office(ISO)에서 비자, 취업, 문화 적응등 국제학생을 위한 지원이 매우 적극적입니다. 한국 학생회(Korean Student Association)와 아시아계 학생 단체도 활발히 활동 중이랍니다.

5) 취업과 대학원 진학 기회

로체스터 졸업생들은 아마존, 구글, 골드만삭스 같은 글로벌 기업과 하버드, MIT 같은 대학원으로 진학합니다. 한국 학생들은 코닥, 제록스 등 지역 기업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인턴십 기회를 얻기도 하고요. 한국 귀국후 SK, 현대 같은 기업 취업에도 유리하게 작용할수 있습니다.

6) Need-Based 장학금

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한국 학생들은 Need-Based 장학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가계 소득과 자산에 따라 연간 $10,000~$50,000 지원이 가능합니다.

한국 학생들은 특히 성취욕과 노력으로 유명하죠. 로체스터 대학은 이런 한국학생들의 구미에 맞는 연구프로젝트, 인턴쉽, 리더쉽프로젝트 등의 기회가 다양합니다. 대학원생이 아닌, 학부생임에도 불구하고 교수와 논문을 작성하거나 국제 컨퍼런스에 참여하도록 하는것, 이것이 바로 로체스터의 유연함입니다.

 

8. 입학 정보와 요강

로체스터 대학교는 상위권 대학으로, 까다로운 입학요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누누이 강조드리지요? 지금 당장 목표물이 보이지 않는다고 좌절할 필요는 없습니다. 로체스터를 목표로 하는 패스웨이 프로그램을 밟아 결국 이뤄낼수 있습니다. 이 길은 머피가 열어드릴테니, 손 내밀어보세요. 함께 가겠습니다.

?

13.jpg

 

?지원일정

14.jpg

?학비

15.jpg

?합격률 및 평균 GPA/SAT/ACT 점수 (2023년 가을학기 신입생 기준)

16.jpg

 

 

8.jpg

 

?

이제 로체스터 대학이 좀더 가깝게 느껴지시죠?

미국 대학들은 구축되어 있는 시스템 및 추구하는 바가 모두 다릅니다.

수많은 미국 대학 가운데 나에게 가장 맞는 대학을 선택하여 목표로 삼는 것,

이것이 미국유학을 시작하는 첫번째 단계입니다.

?